본문 바로가기

조선시대 이모저모

[조선 역사 사건] 1871년 신미양요: 어재연 장군과 조선의 척화비는 왜 세워졌나?

반응형

신미양요, 조선의 문을 두드린 미국의 위협과 척화비의 시대

19세기 후반, 조선은 서양 열강의 끊임없는 통상 요구와 침략 위협에 직면하게 됩니다. 병인양요에 이어 조선의 문을 강제로 열고자 한 두 번째 충돌이 바로 1871년 신미양요입니다. 이 사건은 흥선대원군의 강력한 쇄국정책과 미국의 무력 시위가 정면으로 충돌한 사건으로, 조선 근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본 글에서는 신미양요원인, 전개 과정, 그리고 그 결과가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을 자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871년 신미양요

1. 신미양요의 원인: 제너럴 셔먼호 사건과 미국과의 충돌

신미양요의 직접적인 원인은 1866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었습니다.

①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년) 1866년 8월,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통상을 요구하며 평양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왔습니다. 조선 정부의 통상 거부에도 불구하고 배를 되돌리지 않자, 평양 군민들은 배를 불태워 침몰시키고 선원들을 모두 살해했습니다. 이 사건은 미국에 큰 충격을 주었고, 미국은 제너럴 셔먼호의 선원 송환과 통상 재개 등을 명분으로 조선에 대한 군사적 보복을 준비하게 됩니다.

② 흥선대원군의 강력한 쇄국정책 흥선대원군병인양요를 겪으며 서양 세력에 대한 강력한 반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는 서양과의 통상 관계를 일체 거부하는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천주교 탄압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흥선대원군의 강경한 정책은 미국과의 충돌을 피할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미국은 조선과의 협상이 실패할 경우 무력 시위를 통해 강제로 문호를 개방할 계획이었습니다.


2. 신미양요의 전개: 강화도를 휩쓴 격전

1871년 4월, 미국의 아시아 함대 사령관 로저스가 이끄는 5척의 군함이 강화도에 접근하며 신미양요가 시작됩니다.

① 초지진과 덕진진의 함락 강화도에 도착한 미국 함대는 초지진과 덕진진을 공격하여 순식간에 점령했습니다. 조선군 수비병들은 용감하게 저항했으나, 서양의 신식 무기 앞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미국군은 초지진과 덕진진을 점령한 후, 강화도 상륙을 시도했습니다.

② 광성보 전투와 어재연 장군의 항전 미국군의 다음 목표는 강화도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인 광성보였습니다. 조선군은 어재연 장군의 지휘 아래 결사항전했습니다. 조선군은 총포 대신 활과 칼을 들고 용감하게 맞섰지만, 압도적인 화력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습니다. 어재연 장군은 이 전투에서 순국했으며, 그의 동생 어재순 또한 용감하게 싸우다 전사했습니다. 미국군은 광성보를 점령한 후 한양으로 진격하려 했으나, 조선의 강력한 저항과 더불어 강화도 진입이 쉽지 않다고 판단하여 추가적인 병력 손실을 막기 위해 철수하게 됩니다.


3. 신미양요의 결과와 역사적 의미: 쇄국정책의 강화와 척화비

신미양요는 비록 짧은 기간의 전투였지만, 조선과 미국 양국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① 조선의 승리? 미국군이 철수하자 흥선대원군은 이를 조선의 승리로 선전했습니다. 그는 승리의 기세를 몰아 전국 각지에 **척화비(斥和碑)**를 세워 서양과의 교류를 철저히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습니다. 척화비에는 '서양 오랑캐가 침입하는데 싸우지 않는 것은 화친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라는 내용이 새겨져 있었습니다. 이는 흥선대원군쇄국정책이 더욱 확고해졌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습니다.

② 개항의 지연 신미양요 이후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은 더욱 강화되었고, 이는 조선의 개항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고 근대화를 추진할 기회를 놓치면서 조선은 국제 정세의 흐름에서 더욱 고립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에 비해 근대화가 늦어지면서 훗날 식민 지배의 비극을 겪게 되는 한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③ 미국군의 실패 미국은 신미양요를 통해 조선의 강력한 저항 의지를 확인했습니다. 협상 없이 무력으로 조선을 굴복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은 미국은 이후 조선과의 관계를 재검토하게 됩니다.

신미양요는 조선의 강력한 쇄국 의지와 서양 열강의 침략 의도가 충돌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입니다. 비록 조선이 서양의 신식 무기 앞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지만, 어재연 장군을 비롯한 조선군의 용감한 항전은 서양 세력에게 조선의 저항 의지를 확실하게 각인시켰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신미양요는 조선이 세계의 흐름에 더욱 뒤처지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반응형